김치새우나베
김치와 새우를 활용한 김치새우나베는 깊고 진한 국물 맛이 일품인 요리로, 뜨끈한 국물이 생각나는 날 딱 어울리는 메뉴입니다. 매콤하고 시원한 김치 육수에 탱글탱글한 새우의 감칠맛이 더해져 한층 더 풍미 깊은 국물 요리가 완성됩니다. 나베(鍋)는 일본식 전골 요리를 뜻하는데, 김치와 새우를 활용하면 한국적인 감칠맛과 어우러져 누구나 좋아할 맛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. 이 요리는 특별한 재료 없이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. 집에 있는 신김치와 새우만 있으면 기본적인 국물 맛이 완성되며, 여기에 두부, 버섯, 청경채, 우동사리 등을 추가하면 더욱 풍성한 식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. 또한, 매운맛을 조절할 수 있어 아이들부터 어른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기기에도 좋은 요리입니다. 국물 요리는 보통 오래 끓여야 깊은 맛이 우러나지만, 김치새우나베는 짧은 시간 내에도 감칠맛이 우러나 빠르고 간편하게 완성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. 따뜻한 국물이 필요한 날, 특별한 재료 없이도 근사한 한 끼를 완성할 수 있는 김치새우나베를 만들어보세요! 오늘은 집에서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김치새우나베 레시피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재료
김치
다진마늘
파
진간장
알룰로스(설탕)
고춧가루
계란
새우튀김
파슬리
레시피
1. 김치는 잘게 잘라서 준비해 줍니다.
2. 잘라놓은 김치에 간장 2 숟갈, 알룰로스(설탕) 1 숟갈, 고춧가루 1 숟갈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.
3.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넣고 볶아줍니다.
4. 양념한 김치를 넣고 볶아줍니다.
5. 물을 넣어줍니다.
6. 육수 한 알을 넣어줍니다.
7. 새우튀김을 준비해 줍니다.
8. 프라이팬이 끓으면 새우튀김을 올려줍니다.
9. 계란 두 개를 풀어줍니다.
10. 계란물을 넣고 계란이 몽글몽글 익을 때까지 끓여줍니다.
11. 마지막에 파슬리를 뿌려 마무리해 줍니다.
예전에 학교 앞에서 먹던 김치나베가 생각이 나서 만들어 보았습니다. 김치돈가스나베가 더 많이들 먹고 흔한 메뉴이지만 저는 새우튀김으로 항상 바꿔먹었어서 이번에도 김치새우나베로 만들어 먹었습니다. 이렇게만 해 먹으면 정말 사 먹을 필요 없는 맛입니다. 앞서 말씀드린 대로 여러 토핑, 사리를 추가해서 먹으면 또 다른 맛을 느낄 수 있지만 이번에는 밥이랑 먹으려고 다른 사리는 넣지 않았습니다. 개인적으로 가락국수사리 추천드리니 면 좋아하시는 분은 우동 사리 넣어서 드시면 더 맛있게 즐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아래 또 다른 여러 레시피들 참고하셔서 오늘도 맛있는 한 끼 되시면 좋겠습니다.
[미국에서 요리하기] - 돈까스덮밥
돈까스덮밥 돈까스가 냉동에 저장되어있다면, 도시락으로도 한끼 식사로도 맛있고 간단한 돈까스 덮밥을 만들어 드실 수 있습니다. 사 먹으면 더 간편하고 좋겠지만 집에서도 얼마든지 만들어
foodjjangyoyo.com
이연복 깐쇼새우 & 크림새우 레시피 – 새우튀김 한 번으로 두 가지 요리!
깐쇼새우 & 크림새우새우요리는 언제 먹어도 실패 없는 메뉴지만, 깐쇼새우와 크림새우는 특히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 있는 메뉴입니다. 새우튀김 한 번으로 두 가지 요리를 완성하면 더 좋
foodjjangyoyo.com
[미국에서 요리하기] - 새우볶음밥
새우볶음밥 고슬고슬하고 짭조름한 새우볶음밥이 문득 생각이 나 주말 늦은 아점으로 만들어 먹어보았습니다. 역시 볶음밥은 뭐든 맛있죠~! 간편하기도 하고 쉽고 빠르고 맛도 좋습니다. 재료
foodjjangyoyo.com
레시피요약
1. 김치는 잘게 잘라서 준비해 줍니다.
2. 잘라놓은 김치에 간장 2 숟갈, 알룰로스(설탕) 1 숟갈, 고춧가루 1 숟갈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.
3.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넣고 볶아줍니다.
4. 양념한 김치를 넣고 볶아줍니다.
5. 물을 넣어줍니다.
6. 육수 한 알을 넣어줍니다.
7. 새우튀김을 준비해 줍니다.
8. 프라이팬이 끓으면 새우튀김을 올려줍니다.
9. 계란 두 개를 풀어줍니다.
10. 계란물을 넣고 계란이 몽글몽글 익을 때까지 끓여줍니다.
11. 마지막에 파슬리를 뿌려 마무리해 줍니다.
'coo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롱사태수육 레시피 – 담백하고 쫄깃한 별미 수육 만들기 (5) | 2025.03.22 |
---|---|
신선한 채소와 바질페스토의 만남! 샐러드 파스타 레시피 (3) | 2025.03.20 |
홈메이드 바질페스토 레시피 – 신선하고 건강한 소스 만들기 (10) | 2025.03.19 |
댓글